logo

메뉴
  • 역사자료실
  • 갤러리
  •   흥덕남당창의와 채씨일문의 의병운동 요약


    조원래교수 남당의병 연구논문 요약 보고서


    본 요약보고서는 조원래교수의 논문 요약본입니다.

    2017/05/31

    논문 개요


    출 처 : 한국사연구, 1983.9 75~99(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발행처 한국사연구회(the association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

    저 자 : 조원래(趙援來),

    논문명 : 興德南塘倡義蔡氏一門의 의병운동

    주요내용

    임진왜란 호남의병의 전반적 관점에서 남당의병의 특징을 중점적으로 기술

    야수실기와 겁암록, 호남절의록, 부안고창군지 등을 참고, 자료의 한계 등은 인정


    □ 『興德南塘倡義蔡氏一門의 의병운동요약


    남당의병의 창의배경

    전라도 관찰사 이광이 이끄는 약 5만의 근왕군(勤王軍)이 용인에서 1만이하의 왜군 에게 대패하자 조선관군에 대한 실망,

    이에 사림이 주도하는 의병창의가 진행

    의병주도는 士林이었으며, 유교이념에 충실한 忠孝勤王이었음

    채홍국, 고덕붕 등은 호남의병의 대장격인 고경명 의병부대에 참여하였으나. 고경명 의병이 금산에서 패전하자,

    고향인 전북고창 남당()에서 창의


    전라남도 장성의 남문창의와 흥덕남당창의 비교

    김경수가 고경명 의병의 금산 패전후 기효간, 윤진과 함께 장선 남문에서 창의

     장성 정운룡, 영광 이응종, 고창 김홍우, 태인 이수일, 담양 김언욱, 나주 김경남, 김 부,홍원, 함평 정철, 부안 김억일,

     김해 김홍원, 광주 기효증, 박경은, 흥덕 서연은, 무안 윤황, 정읍 유희진, 무장 김선진 등이 참여하여 장성 남문 앞에서

     단을 만들고 김경수를 맹주로 추대, 김제민을 의병장으로 함

    장성남문창의의병은 1592721일에 시작하여 1124일 출병, 출병당시 의병 1,651, 의곡 496섬이었음

    전라지역 곳곳에서 장성남문창의에 참여하였음에도 전북 고창흥덕현 남당리에서

     채 씨일문을 중심의 독립적 의병을 일으킨 것에 남당창의의병의 독특한 특징 있다.


    平康蔡氏 判書公派 興德宗中의 채씨일문이 주축이 된 의병

    관군참여 없이 전라북도 흥덕현 남당촌 채씨일문 사인, 인척, 가동으로 구성된 의병 이라는 특이사례

    의병장인 채홍국과 지도부 모두 관직경력이 없었으며, 명망있는 의병장의 관여없는 민병의 一門共同體的 의군결성

    야수실기에는 1592913일 약 500여명의 병력규모를 갖추는데, 흥덕현 인구가 5,000여명으로 남자인구를 2,500여명으로 추산,

    남자인구 1/5이 모여 전라지역 각 지에서 모여 창의한 남문장성 의병이 1124일 출병당시 1,651명이었던 점을 고려 할 때,

    흥덕의 장정으로 구성된 남당의병의 군세는 작지 않음

    남당의병이 남문장성창의 의병에 참가하지 않은 점, 흥덕현에서 관직경력이 전무한 양반과 평민으로 구성된 일문공동체적 의병이란 점 등으로

    고창흥덕을 지키고자 했 던 민병으로 오해 할수도 있으나, 남당의병의 행적은 구국의병이었음을 증거함


    체계적인 군사조직과 훈련, 의곡이 준비된 의병

    야수실기 홍의소제임록에는 남당의병을 29개 군사조직으로 체계화

    남당의병은 체계적인 군사조직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군사훈련도 시행하였음

    의병장 조헌이 이끄는 부대에 참전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훈련부족으로 참전하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음

    전라관찰사 이광이 이끄는 삼도연합군의 용인전투 대패와 고경명의병이 금산전투 패전 이후

    체계적인 군사조직과 군사훈련의 필요성을 절감했던 것으로 추측

    -전라관찰사 이광의 삼도연합군이 5만여명의 대군이었음에도 일만이하 왜병에게 대패 한 것은

    삼도연합군이 급조된 농민군으로 오합지졸이었으며, 지휘체계도 명확하지 않았던 바가 컸다.

    -고경명 의병도 이광의 삼도연합군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야수실기에 기효승과 채경달이 의주행재소에 의곡을 보내고 권율에게도 의곡을 보낸 것으로 기록

    곡식이 없어 백성들이 힘들어 하던 전란기에 군량을 준비하고 의주행재소와 권율의 행주진영에도 군량을 보낸 것은

    남당의병의 준비가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음

    다만 의주행재소에 의곡을 수송한 기효승은 남당의병이 아니라 남문장성의병 소속이 었던 점을 볼 때

    남당의병은 장성남문의병과 상호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순천을 지나 석보창 진군과 회군

    군사훈련에 매진하던 남당의병은 흥덕을 떠나 순천을 지나 석보창까지 진군하였으며

    1118일 다시 순천으로, 이어 흥덕으로 회군.

    남당의병이 석보창까지 진군하였던 점에서 창의목적이 향리 방위가 아니라 구국애민임을 증거함

    야수실기에는 명나라 이여송의 벽파관 패배와 송응창의 화의로 인하여 회군하였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회군일자가 11월 중순인 반면 벽파관전투 패전은 15931월 하순 이어서 벽파관 패배가 회유라는 설명은 납득하기 어려움

    <1966년 부안대관 70> 남당의병 김경덕의 기록에는

    화의론의 대두와 더불어 병량의 부족과 병사의 피로 등으로 회군하였다고 하였음






    정유재란과 풍신수길의 호남공략, 남당의병의 호남 요충지 부안고창 방어

    풍신수길은 정유재침을 일으키며 전라도는 빠짐없이 공략하고 충청경기는 가급적 공략하라는 명령하달

    1592년 임진왜침을 통해 전라도가 군사와 군량을 보충하는 전략거점임을 확인한 풍신수길은

    조선의 왕을 공격하는 왜란초기 전격진공전략에서 1597년 정유재란은 전라지역 초토화가 주요전략임을 강조한 것임

    바다와 산맥으로 좌우가 차단된 전라도의 지형적 특성으로 고창부안은 전주 정읍과 남도를

    연결하는 길목이었던 바, 정유재란 시기에 남당의병은 남당 의병의 향리인 고창부안으로 침공한 왜적을 맞아 격전을 펼침

    배풍령, 호벌치 전투는 연속적으로 진행된 전투로 각각의 전투는 아니었음

    호벌치전투에서 남당의병 대부분이 전사하여 이후 전황기록은 분명하지 않음

    참고문헌 : 호남절의사 221, 임진육주갑기념출판회 1969 광주

    전라북도지 상권 580쪽 전라북도지 편찬위원회 1969 전주


    남당의병은 조선시대 지배계급이 아닌 지방/소외계층의 창의

    야수실기에는 흥덕의병의 戰卒 高宗心이 남긴 시구가 있음

    순천에서 회군할 때 순창 赤城江頭에서 35인의 題詠 중 하나임


    忠義將卒이 따로 있으랴

    死後에 이름 남기고 할 뿐이랴

    만약 義軍을 기록하려면

    隊下의 모든 군사 하나같이 되어야 하리


    전공이 양반만의 것이 되지않아야 하며 자신의 신원을 戰卒이라 하였음을 고려할 때 고종심은 양반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더불어 고종심의 제영이 야수실기에 기록 으로 남겨지는 것이 허락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남당의병은 양반과 평민, 노비 등으 로 구성되었으며 주도계층인 양반 역시 당시 조선사회의 주류와는 거리가 먼

    향리의 소외된 양반이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음

    또한 남당의병이 임란당시 조선실록 등 관변기록에서 누락된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여기에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음

    그러나 임란이후 200여년이 지난 정조시기에 편찬된 호남절의록에 남당의병 기록되고,

    야수실기에 전라도 각지 유림에서 보낸 유장이 수록되어 있음을 을 고려할 때,

    임란 당시 남당의병의 의기가 결코 작지 않았음을 증거하고 있음







    목록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