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메뉴
  • 역사자료실
  • 갤러리
  •   야수실기(野叟實記) 오륜행실편집소통문


    남당회맹단 의병대장 채홍국장군 야수실기 게시 연재

    野 叟 實 記




    五倫行實編輯所通文 京城


    右文爲通諭事 盖人有嘉言善行 必闡而揚之以其秉彛 攸同故士有薦狀 朝有褒典 是乃古今之通規也. 接准 貴郡多士發文內聞 興德義旅將判書諱弘國號野叟蔡先生 當龍蛇之變 擧義討倭 累戰累捷 丁酉再猘 與賊戰于長嶝 至於胡伐峙 賊强我弱 竟爲殉節 其子命達·慶達兄弟 亦爲殉節 同地三父子殉節 實蹟昭載於原勳錄 特蒙恩典 立義閣于興德東門外 累經星霜 棟宇崩頹 同盟九十二賢后孫 皆爲等閒 判書公後孫東熯 雖以家勢不贍 同謀諸族 碑則仍舊 閣則新建于會盟舊址 九十二賢 亦次第懸板 依如前日 且傍廡其先祖孝閭 三板並揭 而朔參望謁之誠如此 追遠孝思 鄕黨稱頌 非素有行誼謹飭 豈能若是云云. 據其事實 其先祖之忠烈 其子孫之孝思 可謂忠孝傳家 聞不勝欽仰 當摭其實蹟 登梓於五倫行實 以爲永遠樹風矣. 以此照亮敬要.

    庚申四月 日

    前都事 鄭殷采 前參判 李龍九 正三品 申冕休

    前郡守 張悳根 前承旨 柳冀南 前叅判 洪鍾榮

    前郡守 趙敬植 前縣監 鄭寅夏 前參奉 尹世翼

    全北興德鄕校 僉章甫 座下



    오륜행실편집소의 통문(五倫行實編輯所通文)

    서울(京城)

     

    이 글은 통유(通諭, 통지하여 밝히는 것)하는 것입니다.

    대개 사람에게 아름다운 말과 착한 행실(行實)이 있으면 반드시 이를 천양(闡揚)하여 그 떳떳함을 함께 지키도록 하는 것이므로, 선비에게는 천장(薦狀)하는 법이 있고 나라에는 포상(襃賞)하는 전례(典禮)가 있으니, 이것이 고금(古今)의 통규(通規)입니다.

    귀 군() 다사(多士)의 발문(發文)을 받아서 준거(准據, 準據)하였습니다.

    듣건대, 흥덕(興德)의 의려장(義旅將) 판서(判書) 휘는 홍국(弘國)이고 호는 야수(野叟)인 채선생(蔡先生)은 용사(龍蛇)의 변()을 당하여, 의병(義兵)을 일으켜 왜적을 토벌하여 여러 번 싸워 여러 번 승리(勝利)하였는데, 정유년(丁酉年) 재란(再亂), 왜적과 장등(長嶝)에서 싸우고, 호벌치(胡伐峙)에 이르러 왜적(倭賊)은 강하고 아군(我軍)은 약하여 결국 순절(殉節)하였으며, 그 아들 명달(命達)과 경달(慶達) 형제도 또한 순절(殉節)하였으니, 한 곳에서 삼부자(三父子)가 순절(殉節)하였습니다. 실적(實蹟)은 소상(昭詳)하게 원훈록(原勳錄)에 실려 있으며, 특별히 은전(恩典)을 받아 의각(義閣)을 흥덕(興德) 동문(東門) 밖에 세웠는데, 여러 해 풍상(風霜)을 겪어 동우(棟宇)가 무너지고 퇴폐(頹廢)하였으나 동맹(同盟)92()의 후손들이 다 등한(等閒)한 가운데, 판서공(判書公)의 후손 동한(東熯)이 비록 가세(家勢)는 넉넉지 못하나, 여러 종족(宗族)과 동모(同謀)하여 비()는 이어 예전대로 두고, ()은 회맹(會盟)한 옛터에 새로 건축(建築)하였으며, 92()도 차례대로 현판(懸板)하여 전일(前日)과 다름없이 하였으며, 또 방무(傍廡, 곁의 집)에 그 선조(先祖)의 효각(孝閭) 세 판액(板額)을 아울러 게양(揭揚)하였으며, 초하루·보름에 참배(參拜)하는 정성(精誠)이 이와 같으며, 멀리 추모(追慕효사(孝思)하여 향당(鄕黨)에서 칭송(稱頌)하니, 본래부터 행의(行誼)를 삼가고 경계함이 없으면 어찌 능히 이와 같이 하겠습니까? 운운(云云)하였습니다.

    그 사실(事實)에 의거하면 그 선조의 충렬(忠烈)과 그 자손의 효사(孝思)는 참으로 충효전가(忠孝傳家)라고 하겠으며, 듣고는 흠앙(欽仰)함을 이기지 못하였습니다.

    마땅히 그 사실을 주워 모아 오륜행실(五倫行實)에 등재(登載)하여 영원히 풍기(風紀)를 세우도록 하겠습니다. 삼가 이렇게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경신년(庚申年, 1860) 4월 일

    전 도사(前都事) 정은채(鄭殷采)

    전 참판(前參判) 이용구(李龍九)

    정삼품 (正三品) 신면휴(申冕休)

    전 군수(前郡守) 장덕근(張悳根)

    전 승지(前承旨) 류기남(柳冀南)

    전 참판(前參判) 홍종영(洪鍾榮)

    전 군수(前郡守) 조경식(趙敬植)

    전 현감(前縣監) 정인하(鄭寅夏)

    전 참봉(前參奉) 윤세익(尹世翼)

     

    전북 흥덕향교 여러 선비님 좌하




    太極敎本部敬告文 京城


    右敬通事 天地之理 人得之以生 所謂在天爲命 在人爲性者也. 彛性攸同 褒彰忠義 薦享俎豆 往古來今 常經通誼也. 謹按五倫行實聖蹟圖 及全鮮誌與湖南節義錄諸篇 則貴郡故義旅將贈兵曹判書平康蔡公諱弘國號野叟先生 當龍蛇之亂 與其三子及宗族三十餘人 鄕隣同志六十餘義士 同盟擧義 誓死國難 輪檄列邑 軍容整肅 六七隣鄕 賴以得全 宣廟嘉之 特除同中樞焉. 丁酉再倡 聞風響應者 尤倍於前日 仍伐賊於興德排風峴長嶝連破 又於扶安上掠峙 斬馘甚多 忽然賊衆大至 矢盡道窮 與其長子命達·次子慶達 同地殉節 後人名其峙曰胡伐峙. 聖上壬申 贈資憲兵判 賜祭 命旌 復戶. 其丹忠炳節 如彼卓偉 而尙欠建祠 必是本孫之誠力未逮 多士之公議未遑而然也. 殉國忠節 罕世一有 况 一門三父子同死於忠孝乎. 雖或堙沒於一時 固宜闡揚於後世 則惟願僉君子 勿謂差晩 特以發論 刱設壇享於貴郡南塘會盟舊址 以伸數百年來抑鬱之輿論 千萬幸甚.

    甲子正月 日 太極敎本部

    都有司 李炳善 禮式課長 兪鎭晩

    建議部長 李會臣 文書課長 朴昇和

    敎育課長 趙漢緯 存愛課長 文秉純

    司務課長 李種春 贊敎長 李容圭

    掌議 金永國 講師 申鶴均

    全北興德文廟直員 儒林 僉座下



    태극교본부에서 삼가 고하는 글(太極敎本部敬告文)

    서울 (京城)

     

    이는 삼가 통문(通文)하는 것입니다.

    천지(天地)의 이치를 사람이 얻어서 사는 것이니, 소위(所謂) 하늘에게는 명()이 되고 사람에게는 성()이 되는 것입니다.

    떳떳한 성품(性稟)은 같은 것이라, 충의(忠義)를 포창(褒彰)하고, 조두(俎豆)를 천향(薦享)하는 것은 옛날부터 지금까지 통상적(通常的)으로 마땅한 조리(條理)로 되어 온 것입니다.

    삼가 오륜행실(五倫行實)·성적도(聖蹟圖)전선지(全鮮志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등 제편(諸篇)을 살펴보니, 귀군(貴郡)의 고() 의려장(義旅將) 증병조판서(贈兵曹判書) 평강(平康) 채홍국공(蔡弘國公)은 호가 야수선생(野叟先生)이니, 용사(龍蛇)의 난()을 당하여, 그 세 아들 및 종족(宗族) 30여 인(), 향린(鄕隣)의 동지(同志) 60여 의사(義士)와 동맹(同盟) 의거(義擧)하여 국난(國難)에 죽기를 맹서하고 격문(檄文)을 이웃 고을에 돌려 군용(軍容)이 엄숙(嚴肅)하였으니, 67 이웃 고을이 덕택으로 온전할 수가 있었습니다.

    선조(宣祖)가 이를 가상(嘉尙)하다 하여 특별히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제수(除授)하였습니다.

    정유년(丁酉年)에 다시 창의(倡義)하니, 소문을 듣고 향응(響應)한 자가 전일(前日)보다 배()나 더 많았습니다. 계속해서 왜적(倭賊)을 토벌(討伐)하여 흥덕(興德) 배풍현(排風峴)과 장등(長嶝)에서 연달아 격파(擊破)하였고 또 부안(扶安) 상략치(上掠峙)에서도 적의 목을 벤 것이 매우 많았는데, 갑자기 왜적의 무리가 크게 이르러, 화살이 다하고 싸울 방법이 없으니, 그 큰아들 명달(命達), 둘째아들 경달(慶達)과 함께 같은 땅에서 순절(殉節)하였으며, 후인(後人)들이 그 고개를 호벌치(胡伐峙)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선상(聖上) 임신년(1872)에 자헌대부 병조판서를 증직하고, 사제(賜祭)하고, 정려(旌閭)를 명하고, 복호(復戶)하였습니다.

    그 붉은 충성(忠誠)과 빛나는 절의(節義)는 저와 같이 뛰어나게 훌륭한데, 아직도 사당(祠堂)을 세우지 못하였으니, 필시(必是) 본손(本孫)의 성력(誠力)이 미치지 못하고 다사(多士)의 공의(公議)가 겨를이 없어서 그랬을 것입니다.

    순국충절(殉國忠節)이란, 세상에 드물게 한 번 있는 것인데, 하물며 일문(一門)의 삼부자(三父子)가 함께 충효(忠孝)로 죽은 것이야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비록 더러 한때 인몰(堙沒)되었더라도, 본래 후세(後世)에 천양(闡揚)되어야 마땅한 것이니, 오직 여러 군자(君子)에게 원하옵건대, 좀 늦었다고 말하지 말고 특별히 발론(發論)하여, 귀군(貴郡) 남당(南塘) 회맹(會盟)한 옛터에 당향(壇享)을 창설(刱設)하여 수백년(數百年) 내려오며 억울(抑鬱)하였던 여론(輿論)을 펴 주신다면 대단히 고맙겠습니다.

    갑자년(甲子年) 정월 일

    태극교본부(太極敎本部)

    도유사(都有司) 이병선(李炳善) 예식과장(禮式課長) 유진만(兪鎭晩)

    건의부장(建議部長) 이회신(李會臣) 문서과장(文書課長) 박승화(朴昇和)

    교육과장(敎育課長) 조한위(趙漢緯) 존애과장(存愛課長) 문병순(文秉純)

    사무과장(司務課長) 이종춘(李種春) 찬교장(贊敎長) 이용규(李容圭)

    장의(掌議) 김영국(金永國) 강사(講師) 신학균(申鶴均)

     

    전북 흥덕 문묘(文廟) 직원(直員) 유림 여러분 좌하



    闕里祠儒狀 魯城


    右文爲回敬事 伏以 褒忠獎節 朝家之常典 建祠崇賢 士林之公議 則其義維何. 古君子之建設書院者 本爲藏修而兼擧崇德報功之典 故必求鄕先生之可以爲矜式者 立祠致敬 以興起多士 希賢之志焉. 春間來狀謹悉 而奉讀稽謝 今其閱月 則雖極不安 間當押收於警察官 則勢使奈何 義旅將野叟蔡先生之在昔龍蛇之變 盡忠報國 三父子同地殉節 貞忠大義 亘天炳日 則焉能凂阻也哉. 忠臣烈士何代無之 先生之一門三父子 宗族三十餘人 鄕隣六十餘人 同盟擧義 家僮也·兵糧也·兵鐵也 竭忠運籌 應急提供納于龍灣行朝 送于嶺南義陣 天也運也 時不利兮遇賊敗屯 一擧再擧 所面響應 及其天將之主和也 相向痛哭 赤城江之忠憤詩句 屯越嶺·胡伐峙 昭昭遺蹟 可以謂忠貫日月 義塞天地矣. 前後列聖朝褒贈之典 本孫士林之慕先崇賢之誠 靡不用極 而建祠設享之論齊發 不幸世劫滄桑 未遑停止 但有倡義閣 九十二賢實蹟 昭昭炳日 歲久荒廢 先生本孫東熯與其族祖京洌協謀 碑則仍舊 閣則新建于郡之南塘諸賢當時會盟之地 今日後孫所居之村也. 而克致朔參望謁之誠 其所崇慕 孰有加於此哉. 亘古至今 忠賢義烈之俎豆禮享 亶在乎儒林之秉彛好德 則鄙等亦其在今日尊尙忠義 扶植綱常之地 安敢曰不可. 伏願僉君子 特加尊忠尙節 之大義 建設院宇 妥享俎豆 一以慰忠魂 一以副與望 勿使泯沒於千百世之下 千萬幸甚.

    甲子八月 日 魯城闕里祠 會儒

    幼學 吳在善 洪承學 李 塡 金斗植

    金敎南 尹相準 孔在宣 朴炳乾

    前參奉 朴炳哲 李秉斗 吳斗泳 尹甫重

    前敎官 洪祐泰 朴疇和 崔載昌 孔用錫

    前直員 尹相鋈 李鎬哲 尹玉炳 李光濟

    全北興德鄕校 僉章甫座下

     

     


    궐리사유장(闕里祠儒狀) (魯城)

     

    이 글은 회경(回敬)하는 것입니다.

    엎드려 말씀드리건대, 충의(忠義)에 대하여 포상(襃賞)하고 절의(節義)를 장려(獎勵)함은 나라의 떳떳한 전례(典禮)이며 사당(祠堂)을 세워 현인(賢人)을 숭모(崇慕)함은 사림(士林)의 공의(公議)이니, 그 의의(意義)가 무엇이겠습니까? 옛날 군자(君子)가 서원(書院)을 건설(建設)한 것은 본래 서적(書籍)을 소장(所藏)하고 공부를 하며 겸하여 덕()을 숭상(崇尙)하고 공훈(功勳)에 보답하는 전례(典禮)를 거행(擧行)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긍식(矜式)이 될 만한 향선생(鄕先生)을 찾아 사당(祠堂)을 세우고 존경(尊敬)함으로써 다사(多士)를 흥기(興起)시켜서 현인(賢人)이 되기를 희망한 것이었습니다.

    봄 사이에 온 유장(儒狀)은 삼가 모두 잘 알았습니다마는, 받들어 일고 답장을 드리는 것이 지금 한 달이나 지났으니, 비록 극히 불안(不安)하오나, 그 동안에 경찰관(警察官)에게 압수(押收)를 당하였으니, 사세(事勢)를 어찌하겠습니까.

    의려장(義旅將) 야수(野叟) 채선생(蔡先生)이 옛날 용사(龍蛇)의 변()에 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보답하였으니, 삼부자(三父子)가 같은 땅에서 순절(殉節)한 정충대의(貞忠大義)는 하늘에 걸쳐서 해처럼 빛나니 어찌 능히 매조(浼阻)할 수 있겠습니까?

    충신열사(忠臣烈士)가 어느 대()엔들 없었겠습니까마는, 선생 일문(一門)의 삼부자(三父子), 종족(宗族) 30여 인(), 향린(鄕隣)60여 인()이 동맹(同盟)하여 의병(義兵)을 일으키고, 가동(家僮)이며, 병량(兵糧)이며, 병철(兵鐵)이며, 충성을 다하여 운주(運籌)하고, 급한대로 제공(提供)한 것을 용만(龍灣) 행조(行朝)에 바치고 영남(嶺南) 의진(義陣)으로 보냈습니다.

    하늘의 탓인지 운()의 탓인지, 때가 불리(不利)하여 왜적을 만나 패진(敗陣)하였습니다. 일거(一擧)하고 재거(再擧)하여 가는 곳마다 향응(響應)하였는데 천장(天將)이 화의(和議)를 주장하여 화해하니, 서로 마주보고 통곡(痛哭)하였으며, 적성강(赤城江)의 충분(忠憤) 어린 시구(詩句)와 둔월령(屯越嶺호벌치(胡伐峙)의 명백(明白)한 유적(遺蹟)을 볼 때 참으로 충()은 일월(日月)을 꿰뚫고 의()는 천지(天地)에 꽉 찼다고 하겠습니다.

    전후(前後) 여러 조정(朝廷)에서 내린 포상(襃賞)과 증직(贈職)의 전례(典禮)와 본손(本孫사림(士林)의 조선(祖先)을 추모(追慕)하고 현인(賢人)을 숭앙(崇仰)하는 정성이 지극하지 않은 것이 없었습니다.

    사당(祠堂)을 세워 제사를 지내자는 논의(論議)가 일제히 일어났으나, 불행하게도 세상이 창상(滄桑)과 같은 큰 변동(變動)을 겪어, 겨를이 없어 정지(停止)하였고 다만 창의각(倡義閣)이 있어서 92 의사(義士)의 실적(實蹟)이 명백(明白)하게 해처럼 빛나는데, 세월이 오래되어 황폐(荒廢)하였습니다.

    선생의 본손(本孫) 동한(東熯)이 그 족조(族祖) 경렬(京洌)과 더불어 협모(協謀)하여, ()는 예전대로 놓아두고 각()은 군()의 남당(南塘), 제현(諸賢)이 당시 회맹(會盟)하였던 곳에 새로 건축(建築)하기로 하니, 오늘날 후손들이 살고 있는 마을입니다. 그리고 삭망(朔望, 초하루·보름)에 참배(參拜)하는 치성(致誠)을 하니 그 숭모(崇慕)하는 것이 무엇이 이보다 더하겠습니까?

    옛날부터 지금까지 충신(忠臣현인(賢人의사(義士열사(烈士)의 제사(祭祀)를 지내는 것은 전적(全的)으로 유림(儒林)이 떳떳함을 지키고 덕()을 좋아하는 데 달린 것이니, 저희들은 또한 오늘날 충의(忠義)를 존상(尊尙)하고 강상(綱常)을 부식(扶植)하려는 마당에 어찌 감히 안 된다고 하겠습니까?

    엎드려 여러 군자(君子)에게 원하옵건대, 특별히 충절(忠節)을 존상(尊尙)하는 대의(大義)를 더하시어, 원우(院宇)를 건설하고 제사를 잘 지냄으로써 하나는 충혼(忠魂)을 위로(慰勞)하고, 하나는 여망(輿望)에 부응(副應)하여 천백세(千百世)가 내려가도록 민몰(泯沒)되지 않도록 하여 주시면 천만(千萬) 다행이겠습니다.

    갑자년(甲子年, 1924) 8월 일

    노성 궐리사(魯城闕里祠) 회유(會儒)

    유학 오재선(吳在善) 홍승학(洪承學) 이 진(李 塡) 김두식(金斗植)

    김교남(金敎南) 윤상준(尹相準) 공재선(孔在宣) 박병건(朴炳乾)

    전 참봉 박병철(朴炳哲) 이병두(李秉斗) 오두영(吳斗泳) 윤보중(尹甫重)

    전 교관 홍유태(洪祐泰) 박주화(朴疇和) 최재창(崔載昌) 공용석(孔用錫)

    전 직원 윤상옥(尹相鋈) 이호철(李鎬哲) 윤옥병(尹玉炳) 이광제(李光濟)

     

    전북 흥덕향교 여러 선비님 좌하


    목록